해외 직구/해외 직구 방법
해외직구 관부가세 납부 어떻게 할까요? (feat. 국민/신한/새마을금고)
목록통관/개인소액면세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, 국내에서 정식 수입 통관을 하게 되면 세금이 발생합니다. 특히 해외 직구 시 DDP 조건으로 구매하지 않았다면 한국 세관에 직접 세금을 납부해야하는데요, 해외직구 관부가세 납부는 어떻게 할까요? 수입 통관 후 관부가세 세금이 발생했다면, 운송사나 관세사무소에서 세금을 납부하셔야한다고 연락이 올겁니다. 물론, 그 전에 미리 알아볼수도 있는데요 관세청 홈페이지 유니패스(Unipass)에 접속하셔서 직접 확인하실 수도 있습니다. unipass.customs.go.kr/csp/index.do 아래 화면의 빨간칸처럼 "M B/L - H B/L"을 선택하시고 "운송장번호 입력"란에 운송장번호를 입력하신 뒤 "조회"를 클릭하시면 됩니다. ※ M B/L은 Master BL,..
2020. 10. 24. 22:13